728x90
반응형
패킷 교환 (Packet Switching)
패킷 교환 개념
- 패킷 교환은 송신 측에서 모든 메세지를 일정한 크기의 패킷으로 분해해서 전송하고, 수신측에서 이를 원래의 메세지로 조립하는 것이다.
- 인터넷을 사용하여 통신을 하려면 전화기에 전화번호가 같은 식별자가 필요한데 그것이 IP(Internet Protocol) 주소이다. 이러한 IP주소를 할당하여 네트워크에 데이터를 보내면 IP주소를 확인한 후에 데이터를 전송한다. 인터넷은 전화망과 다르게 경로를 독점적-고정적으로 사용하지 않고 인터넷의 상태 (속도, 대역폭) 에 따라 다른 경로로 발생하게 된다. 이것은 마치 네비게이션과 같은 것으로 즉, 교통량의 정보를 확인하고 최적의 경로를 선택하는 방식으로 데이터를 보내는 것이 인터넷이다. 이처럼 인터넷은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에 IP주소를 붙히는데 이렇게 주소가 붙은 패킷을 데이터그램이라고 한다
패킷
- 네트워크를 사용해서 전송하기 위해서 일정한 단위로 나눈 데이터 전송 단위이다.
- 데이터 송신자와 수신자가 하나의 단위로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 단위이다.
- A컴퓨터의 데이터를 최적의 경로로 전송하기 위해서는 경로를 결정하는 장비가 필요한데 그것이 바로 라우터이다.
- 패킷 교환망(Packet Switching Network)은 송신자가 전송할 데이터를 일정한 크기의 패킷이라는 길이로 분류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면, 수신 측은 전송된 패킷을 다시 조립하여 원래의 메세지를 만든다.
- 패킷 교환은 전송할 패킷에 대해서 우선 순위가 같은 것을 표시해서 중요한 패킷을 식별할 수 있게 한다. 패킷교환 네트워크는 공중 교환 데이터망에서 사용된다.
패킷 교환의 특징
패킷 교환 네트워크 | 설명 |
다중화 | 패킷을 여러 경로로 공유 |
채널 | 가상 회선 혹은 데이터그램 교환 채널을 사용 |
경로선택 | 패킷마다 최적의 경로를 설정 |
순서 제어 | 패킷마다 최적의 경로로 보내지기 때문에 도착 순서가 다를 수 있음 즉, 패킷의 순서를 통제함 |
트래픽 제어 | 전송 속도 및 흐름을 제어 |
에러 제어 | 에러를 탐지하고 재전송함 |
패킷 교환의 장점과 단점
구분 | 내용 |
장점 | - 회선이용률이 높고, 속도 변환, 프로토콜 변환이 가능하며, 음성 통신도 가능함 - 고 신뢰성 : 경로선택, 전송 여부 판별 및 장애 유무 등 상황에 따라 교환기 및 회선 등의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패킷의 우회 전송이 가능하므로 전송의 신뢰성이 보장됨 - 고효율 : 다중화를 사용하므로 사용 효율이 좋음 - 이 기종 단말장치 간 통신 : 전송 속도, 전송 제어 정차가 다르더라도 교환망이 변환 처리를 제공하므로 통신이 가능함 |
단점 | - 경로에서의 각 교환기에서 다소의 지연이 발생 - 이러한 지연은 가변적임 즉, 전송량이 증가함에 따라 지연이 더욱 심할 수 있음 - 패킷별 헤더 추가로 인한 오버헤드 발생 가능성 존재 |
728x90
반응형
'자격증 > 네트워크 관리사 2급 - 필기 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그램과 가상회선 (0) | 2020.12.13 |
---|---|
데이터그램과 가상회선 (0) | 2020.12.13 |
회선교환 (0) | 2020.12.13 |
네트워크 토폴로지 (Network Topology) (0) | 2020.12.13 |
네트워크 (Network) (0) | 2020.1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