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JECT/JPA 사이드 프로젝트 기록

프로젝트 설계 v1.4 ( GIT )

Binsoo 2021. 4. 24.
728x90
반응형

 


따자 '마스코트' 들 😎❤


협업 프로젝트인 만큼 서로 소통하는게 중요하다는 것을 잘 아니까

우리는 깃허브를 잘 활용하려고 한다.

 

그래서 오늘 목표는 깃허브를 같이 이용하는 방식을 정하기로 했다.

 

깃허브는 낮설지만 계속 쓰면 익숙해 지겠... 지 ⏳


Git Hub 관리

내 Local 의 변경사항은 MainA 에서 이루어진다. 


pull

  1. 내 위치가 MainA 라면 main 으로 이동을 해야 한다
    1. git checkout main
  2. 다시 확인하면 내 위치가 main 이 되어있을 것이다.
    1. git branch
    2.  
  3. 그때 pull 을 해!
    1. git pull

 push

  1. push 할 때는 꼭 pull 을 하고 해야 충돌을 대비할 수 있어
  2. 일단 내가 수정한 것들을 add 해
    1. git add a**
    2. git add 파일명
  3. git commit -m ""
  4. git push

branch 이용 법

 

 

branch 참 고

https://gmlwjd9405.github.io/2018/05/11/types-of-git-branch.html 
https://gmlwjd9405.github.io/2017/10/27/how-to-collaborate-on-GitHub-1.html

GIT - issues 활용

  • 라벨별 기능별 모든 진행사항 관리

GIT - projects 활용

  • 기능별 현재 진행사항 관리

 



관리자 기능


UI 생각해보기

- 메인에 각 기능 별 카테고리 준비

  • 회원 관리
  • 시험
  • 한문제
  • 단어
  • 커뮤니티
  • 후기
  • 게시판

- 카테고리 클릭시 관리 화면 로딩

  • Select Box 로 자격증 선택
    • 해당 자격증에 관한 관리 가능

기능 생각해 보기

  • 회원 정보 관리 기능
    • 조회
    • 수정
    • 삭제
  • 공지사항 조회
    • 등록
    • 수정 
  • 문제/자료 등 오류 / 신고
    • 조회
    • 답글
    • 수정
  • 기능별 사용 조회 / 통계-시각화
    • 날짜별
    • 종류별
    • 유입 경로
  • 단어 / 문제 관리 기능
    • 추가
    • 수정
    • 삭제
  • 커뮤니티 관리 기능

  • 내부 리뉴얼 전략 논의
  • 기능 / 콘텐츠 요구 사항 도출
  • 서비스 정책 수립 

W 이 정리한 깃허브 사용법 (code)

https://velog.io/@gillog/Git-Git-%EA%B0%9C%EB%85%90-%EC%A0%95%EB%A6%AC

W 이 정리한 깃허브 사용법 (기록)

https://github.com/swgil007/DDaJa/blob/main/Convention/Git.md

[ 목적 ]
DDaJa Github Repository
Default Branch 이름을
main > Master

1. local에서 main 소스를 가지고 Master 라는 이름의 Branch를 생성한다.
git branch Master main

2. 생성한 local의 Master Branch로 Checkout 한다.
git checkout Master

3. local의 Master Branch를 원격 서버 origin에 Master라는 이름으로 Push 한다.
git push origin Master
git branch -u origin/Master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