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nit (2) 썸네일형 리스트형 [스프링] TDD(Test-Driven Development) 필요한 이유와 방법론에 대해 TDD(Test-Driven Development)란, 테스트 주도 개발 방법론으로서,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에서 테스트 케이스를 먼저 작성한 후, 해당 테스트를 통과하는 코드를 작성하는 개발 방식입니다. 이를 통해 높은 품질의 코드를 작성하고, 잠재적인 버그를 줄이며, 리팩토링과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습니다. TDD가 필요한 이유 코드 품질 향상 TDD를 통해 높은 품질의 코드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테스트 케이스를 먼저 작성하면 개발자는 코드를 작성하기 전에 요구사항과 기능에 대해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버그 감소 TDD는 개발 초기 단계부터 버그를 발견하고 수정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이는 장기적으로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유지보수 용이 테스트 케이스가 작성되어 있으면, 코.. 스프링 Junit 이란 ? 사용해보고 싶다 👩🦰 Junit 이란 ? java 에서 독립된 단위 테스트를 지원해주는 프레임워크이다. @Test 메서드가 호출이 될 때마다 새로운 인스턴스를 생성하여 독립적인 테스트를 이루어지게 한다. 메이븐은 아래와 같이 추가해주었다. junit junit 4.12 test Junit test 코드는 아래와 같이 작성하였다. import org.junit.jupiter.api.Test;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annotation.Autowired; import org.springframework.boot.test.context.SpringBootTest; import com.rsn.POMS.api.poms.user.service.PomsUserService; @Spring..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