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대학원/R

[R] 기본 객체와 자료 형태

Binsoo 2025. 4. 18.
728x90
반응형

🧱 R의 5가지 기본 객체

R에서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본 단위, 객체가 아래 다섯 가지로 나뉜다고 한다:

  1. Character (문자형)
    → "Hello" 같은 문자열
  2. Numeric (숫자형/실수형)
    → 3.14, 10.5 같은 소수 포함 숫자
  3. Integer (정수형)
    → 5L, 100L 처럼 L을 붙여 정수로 표현
  4. Complex (복소수형)
    → 1 + 2i 같은 수학 시간에 나왔던 복소수
  5. Logical (논리형)
    → TRUE, FALSE 같은 참/거짓 값

 

📦 R의 자료 형태 (데이터 구조)

그리고 이 기본 객체들을 가지고 R에서는 다양한 형태로 데이터를 구성할 수 있는데, 그게 바로 자료 형태라고 한다.

 

Vector (벡터)
→ 동일한 데이터 타입을 가진 값들의 모음

c(1, 2, 3)

 

Matrix (행렬)

→ 2차원, 행과 열로 구성된 숫자형 구조

matrix(1:6, nrow=2)
 

List (리스트)
→ 서로 다른 타입의 데이터를 섞어서 담을 수 있는 구조

list(1, "text", TRUE)

 

Factor (범주형)

→ 범주형 데이터, 그룹을 나눌 때 사용

factor(c("low", "medium", "high"))

 

Data Frame (데이터 프레임)
→ 엑셀처럼 행과 열로 구성된 가장 자주 쓰는 구조

 
data.frame(name=c("A", "B"), score=c(80, 90))

 

 

 

📌 오늘의 깨달음

R 에 있는 데이터 구조는 Java 나 Python 이랑 같은 듯 다른 듯 왜 다 비슷한듯 다른걸까 헷갈려죽겠네

728x90
반응형

'직장인 대학원 > R' 카테고리의 다른 글

[R] 매트릭스 (Matrix)  (0) 2025.04.18
[R] 벡터(Vector)  (0) 2025.04.18
[R] 산술 연산  (0) 2025.04.18
[R] 변수와 상수  (0) 2025.04.18
[R] R 데이터를 사용하는 이유  (0) 2025.04.18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