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회선교환 (Circuit Switching)
회선교환의 개념
정보 통신망의 분류는 전화기와 인터넷을 생각하면 분명히 이해할 수 있다.
전화기는 전화번호를 전화기에 입력하면 신호가 간다.
신호는 전화를 받는 사람이 전화를 받을 때까지 계속 울리고 만약 누군가와 통화 중이면 통화 중을 알려주며,
전화를 받으면 그 떄부터는 통화가 이루어지고 안정적으로 통화를 할 수 있다.
즉, 전화기는 발신자와 수신자 간에 회선을 독점하는 것으로 수신자가 전화를 받으면 그 떄부터 둘 사이의 독점적인 통화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통신 방식을 회선 교환 이라고 한다.
QoS(Quality of Service)
Qos란, 네트워크 품질을 평가하는 지표를 의미하며 Qos가 가장 우수한 네트워크가 바로 회선 교환이다. 회선 교환은 한 번 연결이 이루어지면 안정적으로 통신을 할 수가 있다. 하지만 연결이 이루어진다는 것은 선로를 독점해서 사용한다는 의미라서 자원을 많이 사용하고 다중 통신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회선 교환은 포인트 투 포인트 방식으로 연결을 확립하고 안정적으로 통신할 수 있는 방법이다. 위의 도표에 A컴퓨터 D컴퓨터가 통신을 하는데 물리적 선로를 독점해서 사용하는 것이다.
회선교환의 특징
- 교환기를 통해 통신 회선을 설정하여 직접 데이터를 교환하는 방식이다.
- 직접 교환 방식으로 음성 전화 시스템에 활용된다.
- 송신자의 메세지는 같은 경로로 전송된다.
- 실시간으로 처리할 수 있고 안정적인 통신이 가능하다
- 포인트 투 포인트 방식으로 사용된다
대역폭
- 데이터 통신에서 최고 주파수와 최저 주파수의 차이를 말한다.
- 주파수의 상한과 하한의 차이로 헤르츠라 표현한다.
- 대역폭이 크면 클수록 많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회선교환의 장점과 단점
구분 | 내용 |
장점 | - 데이터를 고속으로 전송할 때 좋음 - 고정적인 대역폭을 사용 - 접속에는 긴 시간이 소요되나 접속 이후에는 항상 유지되어 전송 지연이 없으며, 데이터 전송률이 일정함 - 아날로그나 디지털 데이터로 직접 전달 - 연속적인 전송에 적합 |
단점 | - 회선 이용률 측면에서 비효율적임 - 연결된 두 장치는 반드시 같은 전송률과 같은 기종 사이에 송수신이 요구됨 (다양한 속도를 지닌 개체 간 통신 제약) - 속도나 코드의 변환이 불가능 (교환망 내에서의 에러 제어 기능 어려움) - 실시간 전송보다 에러 없는 데이터 전송이 요구되는 구조에서는 부적합 - 통신 비용이 고가이다 |
728x90
반응형
'자격증 > 네트워크 관리사 2급 - 필기 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그램과 가상회선 (0) | 2020.12.13 |
---|---|
데이터그램과 가상회선 (0) | 2020.12.13 |
패킷 교환 (0) | 2020.12.13 |
네트워크 토폴로지 (Network Topology) (0) | 2020.12.13 |
네트워크 (Network) (0) | 2020.1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