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AM STUDY/LINUX23 유닉스의 디렉토리 조작하기 rmdir 디렉터리를 삭제(비어 있지 않은 디렉토리 삭제 불가) -p 옵션을 사용하면, 지정한 디렉터리를 삭제하며, 그 디렉터리의 부모 디렉터리가 빈 디렉터리일 경우 디렉터리도 자동으로 삭제할 수 있음 rm rm은 일반적으로 파일을 삭제할 때 많이 사용하며, 디렉토리에 내용이 존재한다던지, 하위 디렉토리가 존재하는 경우 –f 와 –r 옵션을 이용하여 삭제하는 것이 가능 find 디렉토리 내의 파일이나 디렉토리(폴더)를 찾는 검색 명령어 단순히 파일 이름만을 가지고 찾는 것은 물론, 파일 모드, 파일 타입, 크기, 마지막으로 접근한 시간 등 여러 가지 다양한 조건으로 검색 디렉터리 만들기: mkdir -p 하위 디렉터리를 계층적으로 생성할 때 중간 단계의 디렉터리가 없으면 자동으로 중간 단계 디렉터리를 생.. TEAM STUDY/LINUX 2021. 1. 3. 유닉스 디렉토리 계층 구조 유닉스 디렉토리 계층 구조 ~(홈디렉토리) 현재 사용자 계정의 홈디렉토리 ~뒤에 로그인한 사용자 ID가 오면 해당 사용자의 홈디렉토리를 나타냄 .(현재 디렉토리) 현재 사용 중인 디렉터리를 작업 디렉터리(Working directory) 또는 현재 디렉터리(Current directory)라고 함 현재 디렉터리 위치: pwd 명령으로 확인 /(루트 디렉토리) root 계정의 홈디렉토리로 최상위 디렉토리를 의미 디렉토리의 주요 기능 dev 장치 파일이 담긴 디렉터리 home 사용자 홈 디렉터리가 생성되는 디렉터리 media CD-ROM이나 USB 같은 외부 장치를 연결(마운트라고 함)하는 디렉터리 opt 추가 패키지가 설치되는 디렉터리 root root 계정의 홈 디렉터리 [주의] 루트(/) 디렉터리와 혼.. TEAM STUDY/LINUX 2021. 1. 2. GRUB 패스워드 설정 00_header 파일을 열고 vi /etc/grub.d/00_header i 를 이용해서 --INSERT-- 상태로 만든다 맨 아래 4줄에 아래 코드를 추가하고 cat TEAM STUDY/LINUX 2020. 12. 30. 퍼미션/소유자 관리 1. 파일의 접근 권한 사용자는 자신의 파일과 디렉터리 중에서 다른 사용자가 접근해도 되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을 구분하여 접근 권한을 제한 기호 모드에서는 각 항목별로 사용할 수 있는 문자와 기호가 정해져 있고,사용자 카테고리는 소유자, 그룹, 기타 사용자를 나타내는 문자로 표기되고, 연산자는 권한 부여나 제거를 나타내는 기호로 표기 숫자 모드에서는 각 권한이 있고 없고를 0과 1로 표기하고 이를 다시 10진수로 변환하여 숫자로 나타내며 카테고리별로 권한의 조합에 따라 0부터 7로 나타냄 접근 권한은 원래 4자리로 생략된 맨 앞자리는 특수 접근 권한 의미로 이 숫자가 0이 아니면 특수 접근 권한이 설정됨 2. 접근 권한 설정 일반 파일의 경우 소유자와 그룹은 읽기와 쓰기 권한이 설정되고 기타 사용자는 .. TEAM STUDY/LINUX 2020. 12. 26. 운영체제 운영체제의 개요 운영체제 (OS :Opersting System) 는 컴퓨터 하드웨어와 컴퓨터 사용자 간의 매개체 역활을 하는 시스템 소프트웨어로 사용자가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운영체제의 좁은 의미는 하드웨어와 응용 프로그램 간의 다리 역활을 하는 커널(Kernal) 을 의미하며, 넓은 의미에서는 커널, 미들웨어, 응용프로그램 실행 환경과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레임워크를 모두 포괄하여 정의한다. 운영체제의 주목적은 컴퓨터 시스템을 편리하게 이용하는 것에 있고, 추가적인 목적은 CPU, 주기억장치, 입출력장치 등의 컴퓨터 하드웨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데 있다. 컴퓨터 하드웨어의 편리한 이용과 효율적 관리를 위해서는 하드웨어 자원에 대한 파악과 관리가 필수이다. 따라서 초기의 운영체제는.. TEAM STUDY/LINUX 2020. 12. 24. CenOS7 가상머신 생성 오늘은 가상 머신 만드는 법을 정리해야 겠다. 여러번 설명을 들었지만 머리가 안좋은거니 관심은 가득인데 정리를 해놓지 않으니 기억이 잘 안나는 거 같다. 서버 강사님과, 과장님이 합쳐서 열번은 가르쳐주신거 같은데.. 익숙해져서 자랑할테다 ! 내가 매일 헷갈리는 가상머신 생성하는 법 정리하기 1. Create a New Virtual Machine 을 선택한다. 2. Typical 을 선택한다. 3. I will install opeating system later. The virtual machine will be created with a blank hard disk 선택한다. 4. Linux를 선택한다. 5-1. CentOS 7 64-bit를 선택한 이유는 5-2. 내가 가지고 있는 iso 파일이 C.. TEAM STUDY/LINUX 2020. 12. 23. 유닉스의 파일 조작하기 pwd 현재 작업 중인 디렉터리의 절대 경로를 출력 -L, --logical: 심볼릭을 포함하고 있더라도 PWD 환경 변수를 사용 -P, --physical: 심볼릭 정보를 무시하고 실제의 경로 정보를 출력 mkdir 디렉터리를 만드는 명령어로 디렉터리를 만들면서 권한을 부여할 수 있음 추가 설정이 없다면 기본적으로 755의 실행 권한을 가짐 echo 지정한 문자열을 출력하는 명령어로, 문자열과 함께 개행 문자를 덧붙여 출력 >를 이용하여 파일 생성이 가능 파일 내용보기 cat 파일의 내용을 연속적으로 화겸에 출력 -n : 행번호를 붙혀서 출력해주는 옵션 more 화면 단위로 출력 ( 파일의 내용이 많을 경우에 사용 ) -n : 행번호를 붙혀서 출력해주는 옵션 화면의 페이지 이동 명령어 spacebar .. TEAM STUDY/LINUX 2020. 12. 19. 유닉스의 파일 개요 유닉스 파일 시스템 유닉스 또는 유닉스 계열 운영체제에 쓰이는 파일 시스템으로 파일과 디렉토리의 집합 유닉스는 모든 정보와 장치를 파일로 조작하며 유닉스 시스템 내의 자원 접근도 파일로서 접근할 수 있음 유닉스 내의 모든 파일명은 하나의 유일한 NODE 를 가짐 유닉스 파일 시스템의 특징 효과적인 파일 처리 및 접근의 편의성 제공을 위한 계층적인 구조 Kernal 에 의해 관리 파일과 디렉토리를 구분하지 않음 파일에 관한 정보는 i-node에 보관 데이터 형식을 강요하지 않고 스트림으로 취급 모든 파일은 허가모드를 가짐 이진 파일과 아스키 파일을 동등하게 취급 파일명 정의 규칙 문자, 숫자, _, . 등으로 구성 255자 까지 사용 가능 영문자 대소문자를 구분 유닉스의 파일 구조 시스템 / 루트 디렉토리.. TEAM STUDY/LINUX 2020. 12. 19. LINUX 스터디 계획 LINUX를 배워보려고 영문님이랑 스터디 팀를 만들었다. 일주일에 세번 LINUX를 공부하고 범위는 정해져있지 않다. 공부의 양은 자기가 알아서 정하며 일주일에 세번 개발 블로그에 기록을 한다. 개발을 할 때 리눅스를 잘 다룰줄 알아야 한다는데 나는 리눅스에 대한 기초도 개념도 아직 많이 부족하다. 이 스터디로 인해서 리눅스와 좀 더 친해지는 계기가 되기를 일단 꾸준히 일주일에 세번씩 해나간다면 차곡차곡 쌓이리라 믿는다. 이 스터디의 최종 목표는 리눅스 1급 자격증이고, 그 이상은 윈도우 처럼 익숙하게 다루는 것이다. 당황하지 않고 TEAM STUDY/LINUX 2020. 12. 17. 유닉스 접속 및 계정 관리하기 서버 가상화 물리적 서버 하나를 여러 개의 독립된 가상 환경으로 분리하여 독립적인 여러 OS를 사용하는 것 sudo 유닉스 및 유닉스 계열 운영 체제에서, 다른 사용자의 보안 권한, 보통 슈퍼 유저로서 프로그램을 구동 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 유닉스 접속 환경 구축 가상 머신 - 하드웨어를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 - 그 위에서 운영체제가 작동하도록 하는 기술 - pc에 설치되어 있는 운영체제에 서버 가상화를 통해 독립된 운영체제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해주는 응용 프로그램 유닉스를 사용하는 이유 - 한 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운영체제를 사용 - 독립된 작업 공간이 필요 - 한 시스템에서 여러 명에게 독립적인 운영체제 환경을 제공 유닉스 접속환경 구축 VMware VirtualBox Worksrarion Pr.. TEAM STUDY/LINUX 2020. 12. 13. 유닉스란 유닉스의 특징 1. 대형 시스템에서 자주사용 2. 보안을 중요시하는 기업에서 자주 사용 3. GUI기반 운영체제가 아닌 관계로 일일이 명령어를 입력하여 수행하는 블편함이 있지만 보안이 강력하다 다중 작업 -다중 처리능력 -컴퓨터를 사용할 때, 1가지 작업에서 다른 작업으로 왔다갂다하면서 동시에 여러 일을 할 수 있는 것을 의미 명령어 기반 인터페이스 (CLI) -사용자는 프롬프트가 나타나면 정해진 줄 위에 명령어를 입력하고, 시스템으로부터 이에 대한 응답을 받은 다음, 또 다시 다른 명령어를 입력하는 식으로 진행 그래픽 기반 인터 페이스(GUI)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입출력 등의 기능을 알기 쉬운 아이콘 따위의 그래픽으로 나타낸 것 -컴퓨터 화면 위의 물체나 틀 또는 색상과 같은 그래픽 .. TEAM STUDY/LINUX 2020. 12. 13.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