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빈수 개발자 개발 일기

(898)
MoveZeros MoveZrero 알고리즘은 배열에 있는 숫자 중에 0 인 숫자는 맨 뒤로 빼고 0이 아닌 숫자를 앞으로 가지고 오는 것이야! public class MoveZeros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nums = {0, 3, 2, 0, 8, 5}; int index = 0; for( int i = 0; i
MeetingRooms 기사 시험도 끝났겠다. 실기 준비와 틈틈히 알고리즘을 병행 해야지. 1일 1알고리즘이다. 오늘 해본 알고리즘은 미팅룸 알고리즘이다. import java.util.Arrays; import java.util.Comparator; class Interval{ int start; int end; Interval(){ this.start = 0; this.end = 0; } public Interval(int s, int e) { this.start = s; this.end = e; } } public class MeetingRooms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MeetingRooms a = new MeetingRooms(); Interval in1 = new..
NAVER DEVELOPER CLASS END 이틀전에 네이버 클래스를 마무리 지었디. 5일 간은 그냥,, 아 내가 저기에 입사 할 수 있을까? 너무 좋아 보인다. 이런 막연함 뿐이 었는데 6번째 클래스를 듣고나서는 잠을 못잤다. 어제 정보처리기사 필기를 보고 왔는데 사실 클래스를 보고 난 이틀동안 벌써 이력서를 넣어 볼 생각에 설레서,, ' 아니 누가 너 함격 시켜준데? 제발 집중하자. ' 이러고 지낸건 비밀. 지원서라도 들이내 보고 싶다는 생각이 든건 네이버의 지원서 덕분이다. 그 중에 너무 감격 스러웠던게 두 개가 있다. 첫 번째는 경력 2년 미만? 보통 경력 2년 이상인데.. 싶어서 기분이 좋았지만 그래도 할 용기 까지는 내지 못했다. 먼 이야기 느낌 '한번 지원은 해볼까' 이런 다짐 정도 근데 딱!!!!!!!!!! 롸?????????????..
선택자 탐색 선택자 내용1 내용2 내용3 내용4 * 이 부분을 쓸 때 "background-color " 마지막에 띄어쓰기 하나 있음으로 인해서 작동을 하지 않았다 $("#menu li").eq(2).css({"background-color": "#ff0"}); 탐색 선택자 내용1 내용2 내용3 내용4 내용5 탐색 선택자 내용 1 - 1 내용 1 - 2 내용 1 - 3 내용 2 - 1 내용 2 - 2 내용 2 - 3 콘솔 F12 each()/$.each() 메소드 199p 선택한 요소는 배열에 순서대로 저장된다. 이때 each()/$.each() 메소드는 배열에 저장된 요소를 순서대로 하나씩 선택하면서 인덱스 정보를 가져온다. 내용1-1 내용1-2 내용1-3 내용2-1 내용2-2 내용2-3 this 는 이런 상..
선택자 탐색 선택자 내용1 내용2 내용3 내용4 * 이 부분을 쓸 때 "background-color " 마지막에 띄어쓰기 하나 있음으로 인해서 작동을 하지 않았다 $("#menu li").eq(2).css({"background-color": "#ff0"}); 탐색 선택자 내용1 내용2 내용3 내용4 내용5 탐색 선택자 내용 1 - 1 내용 1 - 2 내용 1 - 3 내용 2 - 1 내용 2 - 2 내용 2 - 3 콘솔 F12 each()/$.each() 메소드 199p 선택한 요소는 배열에 순서대로 저장된다. 이때 each()/$.each() 메소드는 배열에 저장된 요소를 순서대로 하나씩 선택하면서 인덱스 정보를 가져온다. 내용1-1 내용1-2 내용1-3 내용2-1 내용2-2 내용2-3 this 는 이런 상..
next/prev (정) 인접관계 선택자 183p 내용1 내용2 내용3 내용4
실시간 뉴스( 텍스트 ) 텍스트 뿌리기 1초 간격으로 뉴스 요청 Ajax 통신 뉴스 내용 Waiting 기다리세요......................... 이미지 출력이랑 비슷해, 이미지 분석 할때는 responseText ~~~~ JSON.paese()~~~ 해서 만든 obj를 어디서 사용하지를 않아서 의아했는데 여기서 사용하는구나 똑같이 난수발생 하고 여기가 주목 할 점 obj.news ???? news 가 어디냐면 자- 내가 사용할 더미들을 가진 문서의 이름? 이라고 생각을 하자. 그 더미의 [난수] 번째를 가지고 와 title 을 가지고와! title 이 뭐냐면 자 이런 느낌이야 근데 json은 쌤이 임의로 주신 이름일까? 존재하는 이름일까? 아, 왜 우리 쌤은 이 중요한 걸 안알려주셨을까 JSON 이란! 속성값 - ..
LOGIN ( 분 ) login.jap userid: userpw: loginJQueryAjax.jsp userid: userpw: loginList.jsp 0){ session.setAttribute("naver", a); //userid값을 가짜변수 naver에 넘김 response.sendRedirect("guestList.jsp"); //Cookie ck=new Cookie("google", a); //쿠키내장클래스 객체화 //response.addCookie(ck); //쿠키추가등록 //response.sendRedirect("main.jsp"); }else{ %> loginSave.jsp 0){ %> 님 로그인 성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