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빈수 개발자 개발 일기

(898)
✔ 쿠버네티스 스터디 23 일차 주 cicd 되게 중요한데 일단은 젠키스나 뭐 그런 툴들 처음 보는 툴들이 나와서 좀 신기했고 좀 약간 메이저한 툴은 더 뭐 있을까 찾아볼 필요성은 있을 것 같아요. 혜 그러면 이런 틀을 보면 다 도입해야 될 것 같은데라는 생각을 항상 하는데 잘 모르니까 보면 필요한 거일 수도 있고 너무 배보다 배꼽이 커서 젠키스 이거 공부하는 게 더 시간이 걸릴 수도 있지 않나 이런 생각도 들어서 역시나 실무를 해봐야 알 수 있겠다라는 정도 느꼈습니다. 다 이 툴에 집중하기보다는 좀 어쨌든 이 툴들이 나온 기본적인 아이디어들이 있을 거 아니에요. 그런 걸로 생각하면서 읽은 것 같아요. 근데 대부분은 깃옵스에서 이거를 다 커버를 하지 않을까요. 잘 몰라서 대답을 확신하지 못하겠지만 뭔가 깃에서 할 수 있을 것 .. 그러..
✔ 쿠버네티스 스터디 22 일차 수 저는요 오늘 이렇게 쿠퍼스를 확인할 수 있는 이렇게 많은 틀들을 봐서 좀 신기할 거야 이런 식으로 활용할 수 있겠다. 그리고 이렇게 명령어가 쓰여 있는데 말처럼 이렇게 이거 따라 해서 오천 할 수도 있는 거고 안 될 수도 있는 건데 이렇게 간단하게 되면 얼마나 좋을까라는 생각을 했어요. 사용법을 다 적어준 대로 했는데 잘 되면 정말 좋겠다. 주 응 절대 안 돼 아 진짜 안 돼요 안 되더라고요 윤 ui를 쓰게 되면 ui가 인재가 더 많아 실제로 인재 인재 인재 그 kubectl 를 이제 인재를 발생 줄이기 위해서 gui를 쓴다면 그런데 오히려 그게 더 생각보다 .. 주 오히려 텍스트 치는 게 더 인재가 더 많지 않을까요. 윤 나는 개인적으로 그랬어 주 저는 오늘 저기 뭐야 제일 보였던 거는 여기 뭐야 ..
✔ 쿠버네티스 스터디 21 일차 윤 오늘 내용은 별 그거 없었고요 별 딱히 느낀 바는 없었고요 다음 주가 기대됩니다. 수 저도 어제랑 오늘 느낀 점이 별로 없어요. 그냥 이렇게 이용할 수 있는 게 있구나. 라는 걸 느꼈고요 솔직히 내일이 더 기대돼요 그리고 이거 하려고 하는거 아니에요 ? CI/CD .. 주 그것도 가장 큰 이유 중에 하나죠 저는 데이터독 사주세요. 혜 저도 약간 느낀 점이 왜 없었냐면 저는 모니터링 이런 거나 로그인하는 것 또 수집을 할 때 활성화에도 그걸 볼 사람이 꼭 필요한데 수집만 하고 안 보면 의미가 없잖아요. 근데 왠지 이렇게 설정해놓고 안 볼 것 같은 느낌 대시보드가 있어도 그걸 누군가 계속 주시하고 있어야 위험하거나 잘못되고 있는 걸 감지할 수 있는데 안 볼 것 같은 느낌이 들어서 설정을 해도 이거를 감지..
✔ 쿠버네티스 스터디 20 일차 솜 왠지 뭔가 이제 조금 더 실제적인 활용에 가까워진 느낌이 들어서 좋았고요 뭔가 매니 페스트를 어떻게 공유하지 했을 때 기돕스라는 정답이 나와 있어서 좀 재밌었던 것 같습니다. 윤 중요한 내용들은 이제 다 건너 간 것 같아서 이 뒤는 좀 가벼운 마음으로 봤으면 하고요 빨리 끝났으면 좋겠어요. 주 저도요 수 저는 빨리 안 끝났으면 좋겠어요. 혜 왜 그래 수 저는 느낀 점은 없고요 헬륨이라는 거에 대해서 한 번 더 짚고 넘어갈 수 있어서 좋았어요. 나중에 헬륨이라는 단어를 봤을 때 조금 그렇게 심각하게 낯설지는 않을 것 같아요. 주 저는 사실 헬름은 안 써봤고 커스터마이즈만 지금 계속 쓰고 있는데 사실 헬름이 모든 매니 테스트를 이미 다 정해놓고 모든 경우의 수를 다 정해놓고 지금 배포를 하는 거잖아요. ..
✔ 쿠버네티스 스터디 19 일차 혜 저는 오늘 여기서 설정한 거에서 네트워크 방식 설정하는 거 보고서 뭔가 저희가 운영하는 방식에 대해서 조금 반성이라고 해야 되나 그런 걸 느낀 게 저희는 뭔가 루트나 전체적인 허용을 먼저 하고 아닌가 허용을 다 하고 차단을 외부 통신만 차단하는 방식으로 하잖아요. 외부는 이미 차단되어 있는데 .. 윤 화이트 리스트 화이트 리스트요 포트는 그러니까 포트 호형 같은 개념에는 블랙리스트가 맞는데 네 혜 그렇게 돼 있잖아요. 외부는 당연히 돼 있는데 저는 그래서 제가 얘기하고 싶은 거는 저희 내부 서버를 서로 다 너무 확신해서 내부끼리는 이런 서비스 간의 통신끼리는 없는 거예요. 그런 게 근데 사실은 저희가 쓰고 있는 이런 서비스들을 다른 팀에서 사용을 할 때 그거에 대한 정책이 제대로 안 되어 있으면 저희..
✔ 쿠버네티스 스터디 18 일차 윤 카드 보안 정책 전까지 저는 지난번 했었던 거랑 솔직히 거의 비슷한 내용이라 딱히 없었습니다. 그냥 그랬어요. 수 저는 오늘 노드 우선순위 제외하고 어떻게 처리하는지 한 번 더 짚고 갈 수 있어서 정말 좋았던 것 같습니다. 주 저는 오늘 여기서 존이라는 내용이 나왔는데 이게 지금 존보다는 저희한테는 존이 아니라 랩으로 생각을 해서 봐야 되는 것 같고요. 그리고 이런 운영 측면에서 사실 이렇게 존을 나눠서 하는 게 되게 중요하다고 알고 있거든요. 그래서 이런 내용도 포티스에서 한번 봐서 좋았습니다. 혜 또 주가 말한 것처럼 이게 뭔가 각각의 파드가 다른 곳에 배치를 시켜서 뭔가 레플리카 구조를 만들어서 안정성을 부여하는 거가 되게 좋다고 생각을 했고요. 이거를 과연 어떻게 할 수 있을지 지난번에 생각했..
✔ 쿠버네티스 스터디 17 일차 솜 저부터 저는 일단은 다음에 다음 진도 내용을 보니까 단어들이 다 너무 약간 sf 영화에 나오는 것 같이 무슨 말인지 모르겠어요. 그런 느낌이 들었고요 그래도 이번에 한 거는 조금 약간 어디에 써먹으면 좋을까 생각을 해봤는데 모델 api를 서빙할 때 모델을 gpu에 올리는 데 시간이 좀 걸리잖아요. 그래서 거기서 아까 전에 보니까 파드 스타트 스타트업 프로브 거기서 이제 쓰면 되지 않을까 싶은 생각이 들었고요 그리고 뭔가 파드를 노드를 삭제할 때 노드를 삭제할 때도 사실 노드 삭제하는 일이 잦을까 싶긴 한데 있긴 하겠죠. 있긴 할 것 같은데 그때 미리 고려해야 될 상황들이 있고 그리고 어떤 파드와 어떤 파드가 좀 서로 의존성 관계에 있냐를 파악하고 뭔가 이렇게 타임을 지정하잖아요. 몇 초 뒤에 꺼지기 ..
제이쿼리 클릭이벤트 $('.content').click(function(){ console.log('content click')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