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AM STUDY156 9회차 - 탑 KOI 통신연구소는 레이저를 이용한 새로운 비밀 통신 시스템 개발을 위한 실험을 하고 있다. 실험을 위하여 일직선 위에 N개의 높이가 서로 다른 탑을 수평 직선의 왼쪽부터 오른쪽 방향으로 차례로 세우고, 각 탑의 꼭대기에 레이저 송신기를 설치하였다. 모든 탑의 레이저 송신기는 레이저 신호를 지표면과 평행하게 수평 직선의 왼쪽 방향으로 발사하고, 탑의 기둥 모두에는 레이저 신호를 수신하는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하나의 탑에서 발사된 레이저 신호는 가장 먼저 만나는 단 하나의 탑에서만 수신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높이가 6, 9, 5, 7, 4인 다섯 개의 탑이 수평 직선에 일렬로 서 있고, 모든 탑에서는 주어진 탑 순서의 반대 방향(왼쪽 방향)으로 동시에 레이저 신호를 발사한다고 하자. 그러면, 높이가 4.. TEAM STUDY/알고리즘 코딩 테스트 스터디 2022. 8. 6. 9회차 - 괄호 문자열 괄호 문자열(Parenthesis String, PS)은 두 개의 괄호 기호인 ‘(’ 와 ‘)’ 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문자열이다. 그 중에서 괄호의 모양이 바르게 구성된 문자열을 올바른 괄호 문자열(Valid PS, VPS)이라고 부른다. 한 쌍의 괄호 기호로 된 “( )” 문자열은 기본 VPS 이라고 부른다. 만일 x 가 VPS 라면 이것을 하나의 괄호에 넣은 새로운 문자열 “(x)”도 VPS 가 된다. 그리고 두 VPS x 와 y를 접합(concatenation)시킨 새로운 문자열 xy도 VPS 가 된다. 예를 들어 “(())()”와 “((()))” 는 VPS 이지만 “(()(”, “(())()))” , 그리고 “(()” 는 모두 VPS 가 아닌 문자열이다. 여러분은 입력으로 주어진 괄호 문자열이 V.. TEAM STUDY/알고리즘 코딩 테스트 스터디 2022. 8. 6. ✔ 쿠버네티스 스터디 25 일차 솜 일단 뭔가 아쉬운데요. 저는 뭔가 아쉬워요. 스토리가 끝났는데 개운한 느낌이 아니라 뭔가 찝찝한 느낌이 많이 들어서 왜냐면 이 거대한 이 쿠버네티스 환경을 내가 뛰어들어서 본격적으로 뛰어들 수 있을까 라는 생각이 들기도 하면서 좀 그냥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야겠다. 생각이 들어서 근데 좀 이제는 이거를 1부터 10까지 그냥 차근차근 읽기보다는 그냥 필요할 때 투입되는 그런 용도로 책을 사용할 것 같고요. 그리고 점점 더 확신이 드는 거는 이런 엄격한 환경과 이 엄격한 사용 방법이 건강한 애플리케이션을 만들 수 있는 방법이 되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서 좀 짜증 나도 여기서 바라는 대로 해야 되잖지 않을까요 그래 그래야 정말 이상적인 뭔가를 ... 뭔 말하는지 모르겠어요. 거 같아요. 무슨 말인지 모르겠.. TEAM STUDY/쿠버네티스 2022. 8. 4. ✔ 쿠버네티스 스터디 24 일차 혜 또 오늘 프로 서비스 아키텍처 굉장히 중요하다는 거를 많이 들어서 저희는 무조건은 아닌데 모놀로시 개발을 좀 운영해서 많이 배포하고 있으니까 마이크로 서비스로 단계적으로 바꾸기가 되게 어려운 환경인 것 같아요. 근데 사실은 이제 개발을 하고 나서 운영을 좀 배포하고 난 다음에 좀 이렇게 바꿔 나갈 수 있는 기간이 좀 필요한데 그런 게 없다보니까 대규모 모놀로직 하나의 대규모로 이렇게 운영하는 거를 유지할 수밖에 없는 그런 고충이 있어서 저희도 이번에 검색 엔진도 이렇게 바꿔보려고 하고 다른 것들도 많이 해보려고 했는데 시간? 그리고 설계 이런 게 굉장히 여기서도 나오잖아요. 설계를 되게 잘 해야 된다고 그런 게 진짜 물리적 자원 소비나 이런 것도 다 네트워크 트래픽 이런 것도 다 고려해야 되니까 굉장.. TEAM STUDY/쿠버네티스 2022. 8. 4. ✔ 쿠버네티스 스터디 23 일차 주 cicd 되게 중요한데 일단은 젠키스나 뭐 그런 툴들 처음 보는 툴들이 나와서 좀 신기했고 좀 약간 메이저한 툴은 더 뭐 있을까 찾아볼 필요성은 있을 것 같아요. 혜 그러면 이런 틀을 보면 다 도입해야 될 것 같은데라는 생각을 항상 하는데 잘 모르니까 보면 필요한 거일 수도 있고 너무 배보다 배꼽이 커서 젠키스 이거 공부하는 게 더 시간이 걸릴 수도 있지 않나 이런 생각도 들어서 역시나 실무를 해봐야 알 수 있겠다라는 정도 느꼈습니다. 다 이 툴에 집중하기보다는 좀 어쨌든 이 툴들이 나온 기본적인 아이디어들이 있을 거 아니에요. 그런 걸로 생각하면서 읽은 것 같아요. 근데 대부분은 깃옵스에서 이거를 다 커버를 하지 않을까요. 잘 몰라서 대답을 확신하지 못하겠지만 뭔가 깃에서 할 수 있을 것 .. 그러.. TEAM STUDY/쿠버네티스 2022. 8. 4. ✔ 쿠버네티스 스터디 22 일차 수 저는요 오늘 이렇게 쿠퍼스를 확인할 수 있는 이렇게 많은 틀들을 봐서 좀 신기할 거야 이런 식으로 활용할 수 있겠다. 그리고 이렇게 명령어가 쓰여 있는데 말처럼 이렇게 이거 따라 해서 오천 할 수도 있는 거고 안 될 수도 있는 건데 이렇게 간단하게 되면 얼마나 좋을까라는 생각을 했어요. 사용법을 다 적어준 대로 했는데 잘 되면 정말 좋겠다. 주 응 절대 안 돼 아 진짜 안 돼요 안 되더라고요 윤 ui를 쓰게 되면 ui가 인재가 더 많아 실제로 인재 인재 인재 그 kubectl 를 이제 인재를 발생 줄이기 위해서 gui를 쓴다면 그런데 오히려 그게 더 생각보다 .. 주 오히려 텍스트 치는 게 더 인재가 더 많지 않을까요. 윤 나는 개인적으로 그랬어 주 저는 오늘 저기 뭐야 제일 보였던 거는 여기 뭐야 .. TEAM STUDY/쿠버네티스 2022. 8. 4. ✔ 쿠버네티스 스터디 21 일차 윤 오늘 내용은 별 그거 없었고요 별 딱히 느낀 바는 없었고요 다음 주가 기대됩니다. 수 저도 어제랑 오늘 느낀 점이 별로 없어요. 그냥 이렇게 이용할 수 있는 게 있구나. 라는 걸 느꼈고요 솔직히 내일이 더 기대돼요 그리고 이거 하려고 하는거 아니에요 ? CI/CD .. 주 그것도 가장 큰 이유 중에 하나죠 저는 데이터독 사주세요. 혜 저도 약간 느낀 점이 왜 없었냐면 저는 모니터링 이런 거나 로그인하는 것 또 수집을 할 때 활성화에도 그걸 볼 사람이 꼭 필요한데 수집만 하고 안 보면 의미가 없잖아요. 근데 왠지 이렇게 설정해놓고 안 볼 것 같은 느낌 대시보드가 있어도 그걸 누군가 계속 주시하고 있어야 위험하거나 잘못되고 있는 걸 감지할 수 있는데 안 볼 것 같은 느낌이 들어서 설정을 해도 이거를 감지.. TEAM STUDY/쿠버네티스 2022. 8. 4. ✔ 쿠버네티스 스터디 20 일차 솜 왠지 뭔가 이제 조금 더 실제적인 활용에 가까워진 느낌이 들어서 좋았고요 뭔가 매니 페스트를 어떻게 공유하지 했을 때 기돕스라는 정답이 나와 있어서 좀 재밌었던 것 같습니다. 윤 중요한 내용들은 이제 다 건너 간 것 같아서 이 뒤는 좀 가벼운 마음으로 봤으면 하고요 빨리 끝났으면 좋겠어요. 주 저도요 수 저는 빨리 안 끝났으면 좋겠어요. 혜 왜 그래 수 저는 느낀 점은 없고요 헬륨이라는 거에 대해서 한 번 더 짚고 넘어갈 수 있어서 좋았어요. 나중에 헬륨이라는 단어를 봤을 때 조금 그렇게 심각하게 낯설지는 않을 것 같아요. 주 저는 사실 헬름은 안 써봤고 커스터마이즈만 지금 계속 쓰고 있는데 사실 헬름이 모든 매니 테스트를 이미 다 정해놓고 모든 경우의 수를 다 정해놓고 지금 배포를 하는 거잖아요. .. TEAM STUDY/쿠버네티스 2022. 8. 4. ✔ 쿠버네티스 스터디 19 일차 혜 저는 오늘 여기서 설정한 거에서 네트워크 방식 설정하는 거 보고서 뭔가 저희가 운영하는 방식에 대해서 조금 반성이라고 해야 되나 그런 걸 느낀 게 저희는 뭔가 루트나 전체적인 허용을 먼저 하고 아닌가 허용을 다 하고 차단을 외부 통신만 차단하는 방식으로 하잖아요. 외부는 이미 차단되어 있는데 .. 윤 화이트 리스트 화이트 리스트요 포트는 그러니까 포트 호형 같은 개념에는 블랙리스트가 맞는데 네 혜 그렇게 돼 있잖아요. 외부는 당연히 돼 있는데 저는 그래서 제가 얘기하고 싶은 거는 저희 내부 서버를 서로 다 너무 확신해서 내부끼리는 이런 서비스 간의 통신끼리는 없는 거예요. 그런 게 근데 사실은 저희가 쓰고 있는 이런 서비스들을 다른 팀에서 사용을 할 때 그거에 대한 정책이 제대로 안 되어 있으면 저희.. TEAM STUDY/쿠버네티스 2022. 8. 4. ✔ 쿠버네티스 스터디 18 일차 윤 카드 보안 정책 전까지 저는 지난번 했었던 거랑 솔직히 거의 비슷한 내용이라 딱히 없었습니다. 그냥 그랬어요. 수 저는 오늘 노드 우선순위 제외하고 어떻게 처리하는지 한 번 더 짚고 갈 수 있어서 정말 좋았던 것 같습니다. 주 저는 오늘 여기서 존이라는 내용이 나왔는데 이게 지금 존보다는 저희한테는 존이 아니라 랩으로 생각을 해서 봐야 되는 것 같고요. 그리고 이런 운영 측면에서 사실 이렇게 존을 나눠서 하는 게 되게 중요하다고 알고 있거든요. 그래서 이런 내용도 포티스에서 한번 봐서 좋았습니다. 혜 또 주가 말한 것처럼 이게 뭔가 각각의 파드가 다른 곳에 배치를 시켜서 뭔가 레플리카 구조를 만들어서 안정성을 부여하는 거가 되게 좋다고 생각을 했고요. 이거를 과연 어떻게 할 수 있을지 지난번에 생각했.. TEAM STUDY/쿠버네티스 2022. 8. 4. ✔ 쿠버네티스 스터디 17 일차 솜 저부터 저는 일단은 다음에 다음 진도 내용을 보니까 단어들이 다 너무 약간 sf 영화에 나오는 것 같이 무슨 말인지 모르겠어요. 그런 느낌이 들었고요 그래도 이번에 한 거는 조금 약간 어디에 써먹으면 좋을까 생각을 해봤는데 모델 api를 서빙할 때 모델을 gpu에 올리는 데 시간이 좀 걸리잖아요. 그래서 거기서 아까 전에 보니까 파드 스타트 스타트업 프로브 거기서 이제 쓰면 되지 않을까 싶은 생각이 들었고요 그리고 뭔가 파드를 노드를 삭제할 때 노드를 삭제할 때도 사실 노드 삭제하는 일이 잦을까 싶긴 한데 있긴 하겠죠. 있긴 할 것 같은데 그때 미리 고려해야 될 상황들이 있고 그리고 어떤 파드와 어떤 파드가 좀 서로 의존성 관계에 있냐를 파악하고 뭔가 이렇게 타임을 지정하잖아요. 몇 초 뒤에 꺼지기 .. TEAM STUDY/쿠버네티스 2022. 8. 4. 7회차 - 수열의 순환 (+) 7회차 - 수열의 순환 7회차 - 수열의 순환 1부터 시작해서 1씩 증가하다가 특정 숫자에 도달하면 다시 1로 돌아오는 수열을 순환 수열이라고 하자. 예를 들어서 5에 도달하면 다시 1로 돌아오는 순환 수열은 아래와 같다. 1, 2, 3, 4, 5, 1, 2, soobindeveloper8.tistory.com numbers 은 수열의 주기를 뜻한다. getLCM 에 numbers 를 보내고 getLCM는 1번째 수를 기준으로 그 이후 모든 수를 한번씩 for 문을 돌린다. a b 10 2 3 4 5 7 10 2 3 4 5 7 10 2 3 4 5 7 10 2 3 4 ,,, 7 getLCM ( a , b ) 는 a * b / getGCD 를 구하고, getGCD 는 a 와 b 의 나머지가 0 이 될때까지 .. TEAM STUDY/알고리즘 코딩 테스트 스터디 2022. 8. 1. 이전 1 2 3 4 5 ··· 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