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AM STUDY/쿠버네티스 (40) 썸네일형 리스트형 ✔ 쿠버네티스 스터디 17 일차 솜 저부터 저는 일단은 다음에 다음 진도 내용을 보니까 단어들이 다 너무 약간 sf 영화에 나오는 것 같이 무슨 말인지 모르겠어요. 그런 느낌이 들었고요 그래도 이번에 한 거는 조금 약간 어디에 써먹으면 좋을까 생각을 해봤는데 모델 api를 서빙할 때 모델을 gpu에 올리는 데 시간이 좀 걸리잖아요. 그래서 거기서 아까 전에 보니까 파드 스타트 스타트업 프로브 거기서 이제 쓰면 되지 않을까 싶은 생각이 들었고요 그리고 뭔가 파드를 노드를 삭제할 때 노드를 삭제할 때도 사실 노드 삭제하는 일이 잦을까 싶긴 한데 있긴 하겠죠. 있긴 할 것 같은데 그때 미리 고려해야 될 상황들이 있고 그리고 어떤 파드와 어떤 파드가 좀 서로 의존성 관계에 있냐를 파악하고 뭔가 이렇게 타임을 지정하잖아요. 몇 초 뒤에 꺼지기 .. ✔ 쿠버네티스 스터디 16 일차 혜 관리 하는 방식 알아서 좋고 이런 게 기동이 잘 되고 있는지 모니터링이 항상 중요하잖아요. 그래서 이런 거 설정 잘해가지고 학교 장애 안 생기게 대응해야겠다. 생각했습니다. 솜 저도 헬스체크라는 용어를 처음 접한 거는 그때 데이터 허브 그거 poc 할 때였거든요. 그래서 근데 거기 자체에는 헬스 체크가 아예 그냥 자기네 자체 명령으로 돼 있는데 이게 쿠버네티스에서 아이디어를 가져온 건가 싶기도 하고 아니면 원래 dev os 있는 용어인가 잘 모르겠고요 근데 뭔가 보면서 이런 되게 세부적으로 헬스 체크를 할 수 있다는 게 참 다행이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뭔가 이 컨테이너를 운영하는 팀마다 뭔가 원하는 게 다를 것 같아서 어떤 팀은 리드니스 방법을 활용할 수도 있고 어떤 팀은 진짜 프로세스가 꺼지면 안 .. ✔ 쿠버네티스 스터디 15 일차 주 리소스 제한 어렵네요. 그냥 cpu하고 메모리하고 제한한다라고 하는 건데 이거를 참 안정성 있게 하려면 진짜 참 어려운 거구나라는 걸 오늘 느꼈습니다. 공부 많이 하겠네요. 저는 막 서비스 같은 거는 설정을 제대로 하면 되는데 리소스 같은 거는 계산을 해서 설정을 예측을 해야 되잖아요. 혜 제가 근데 지난번에도 얘기했는데 제한점이라는 거는 항상 기준을 뭔가 최대치로 잡아야 되는데 서버는 한정적이고 리소스도 한정적인데 이걸 어떻게 실제로 운영할 때 잘할 수 있을지 테스트랑 분명히 또 다른 결과가 나올 것 같아서 벌써부터 두려워요. 이런 걸 할 사람이 내가 아니길 바라면서 .. 솜 근데 뭔가 저는 이제 그런 부하에 대한 경험이 없다보니 이제 선배님들과는 다르게 어떡하지 이거 도대체 어떻게 설정해야 되지 .. ✔ 쿠버네티스 스터디 14 일차 수 저는 오늘 리퀘스트라는 리밋 용어에 대해서 좀 다시 알게 된 계기가 된 것 같아요. 리퀘스트랑 리밋에 대한 사이즈를 정하는 게 참 쉽지만은 않을 것 같아요. 너무 조금 적으면 oom 이 발생하고 너무 많이 잡으면 쓸데없이 메모리 차지만 하고 노드만 많이 할당되고 그러니까 이게 과장님이랑 대리님들이 많이 수고하실 것 같아요. 주 X나 짬 때리고 뭐지 왜 아래 위에서 왜 ㅋㅋㅋㅋ 주 근데 이번에 좀 느낀 게 얘네들이 진짜 독한 놈들이라고 느낀 게 이게 어쨌든 gcp에서 얘네들이 사용하는 거잖아요. 근데 진짜 리소스 제한이 cpu를 코어 단위로가 아니라 밀리 단위로 하는 거 보고 얘네들 진짜 독한 놈들이구나 진짜 돈 아끼려고 정말 우리도 리소스에 대해서 정말 독해져야겠다라는 생각을 했어요. 윤 맞습니다. .. ✔ 쿠버네티스 스터디 13 일차 윤 볼륨 볼륨을 거의 이제 끝냈는데 볼륨을 거의 끝냈는데 솔직히 지금까지 다른 거 공부할 때는 머릿속으로 그려지는 그림이라는 게 있었는데 얘는 전혀 그려지지가 않아 솔직히 볼륨 연구 볼륨 이런 말이 그냥 단편적으로 네모 박스밖에 지금 생성이 안 되고 그 안에서 다양한 리소스나 매니 페스트를 설정을 하면 이게 만들어진다라고 했을 때 그림이 솔직히 제대로 하나하나 연결이 안 되는 느낌인데 그런데 왠지 왠지 뒤에 약간 실무적인 내용 들어가면 왠지 이해를 할 수 있을 것 같은 느낌적인 느낌은 좀 들기는 합니다. 수 저는 볼륨이라고 했을 때 이렇게 확장이 되고 그런 개념이라고 생각은 하고 있었는데 당연히 축후도 될 거라고 생각을 했는데 오늘 안 된다는 사실 좀 알아서 좀 신기했고요 볼륨을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이 .. ✔ 쿠버네티스 스터디 12 일차 다 영구 볼륨 부분이 좀 인상적이었던 것 같아요. 그리고 확실히 네트워크를 공부를 해야겠다는 생각이 든 게 뭔가 이렇게 그림이 나와 있으면 이게 이 그림 사이에 이 선 사이에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는 잘 떠오르지가 않더라고요 네트워크 아까 전에 그게 나왔었잖아요. 영구 볼륨을 네트워크로 뭐라고 그러죠 마운트 ! 마운트 하는 걸 네트워크를 한다고 했는데 그런 거를 좀 더 공부를 해봐야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리고 오늘 약간 점심시간 이제 끝나갈 때쯤에 인터넷으로 파이썬 파이콘 이런 거 찾아봤는데 2022년 파이콘은 10월 1일에 하더라고요 그래서 10월 1일이요 네 주 공유해 주세요. 혜 공유해 주세요. 다 아니 같이 듣자고 하려고 했는데 수 괜히 말했다 윤 확실히 그러니까 옛날에 리눅스 마스터 리눅스 정보하.. ✔ 쿠버네티스 스터디 11 일차 혜 이거 입은 파일이나 다른 것들 환경 변수 설정하는 거 그냥 읽은 것 같아서 이런 거 활용해서 잘 설정해서 고정으로 받는 게 아니라 파일을 이렇게 유동적으로 하고 보안도 신경 써서 설정하고 이런 걸 느꼈습니다. 별로 느낀 게 없는 것 같은데 다들 비슷할 것 같아요. 다 저도 DataPOC 할 때 거기에 시크릿이 나와가지고 시크릿 얘네만 쓰는 건가 했는데 뭔가 이미 이런 crcd 이런 데보스 개발자들은 이미 시크릿이라는 용어가 익숙하겠구나라는 생각이 좀 들어서 혜 근데 궁금한데 DataPOC 가 뭐예요. 주 데이터 허브라고 메타 데이터 관리하는 .. 혜 둘이 데이터가 어느 위치에 있고 어느 스키마를 가지고 있고 어느 프로젝트에 가지고 있고 어느 프로젝트다라는 거를 중앙적으로 메타 데이터를 관리를 해주는 .. ✔ 쿠버네티스 스터디 10 일차 주 네 오늘 그거 진짜 이제 로드밸런싱과 l7 로드밸런싱이 끝났는데 지금까지 생각했던 거는 다 l7 로드밸런싱만 항상 생각을 계속 고민을 했었던 것 같아서 L4를 어디다 써야 될지 조금 한 번 더 고민을 좀 해봐야 될 필요성은 있을 것 같아요. 그래서 어쨌든 맨날 로드밸런싱 관련된 고민을 조금 해결이 된 것 같아서 좋네요. 혜 지난주에 뭔가 제가 네트워크 지식이 부족하다고 생각해서 그런 얘기를 해서 L4 랑 L7 나왔잖아요. 그래서 이거를 이해를 하려면 이해를 하고 나중에 쓰려면 공부를 해야겠다. 그래서 좀 읽고 왔더니 따로 공부하고 왔더니 좀 괜찮더라고요. 그래서 역시 선수 지식이 엄청 중요하구나 아는 만큼 보인다라는 걸 조금 많이 느낄 수 있어서 이런 스터디를 해도 조금 공부를 따로 하고 듣는 게 좀.. 이전 1 2 3 4 5 다음 목록 더보기